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잼버리 대회는 끝났지만 남은 문제가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.<br><br> 무엇보다 큰 돈을 들여서 갯벌을 매립한 땅이 문제입니다. <br><br> 농지로 쓰겠다며 매립 예산을 받아냈지만 지자체는 뭔가 개발하고 싶어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 하지만 다른 용도로 바꾸면 매립비용인 1천 8백억 원을 반납해야 합니다.<br><br>우현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여의도 면적 3배 크기인 새만금 잼버리 부지의 현재 용도는 농지입니다. <br><br>갯벌 매립 비용으로 국가의 농지관리기금을 활용하려고, 관광 레저 용도에서 바꿨습니다.<br> <br>[이낙연 / 당시 국무총리(지난 2017년 12월)] <br>"농업용지가 돼야 농지기금을 쓸 수 있으니까요. 그런 용도변경을 해줘야 하고. 그 다음에 잼버리 대회를 치르고 일정 기간 농업용지로 사용하다가 그 다음에 관광 레저지구로 돌린다거나…" <br><br>이후 "테마파크로 만들자" "산업단지로 조성하자" 등의 의견이 나왔지만 지금까지도 잼버리 행사 이후 활용방안은 미정입니다. <br><br>전라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이제 와서 논의하겠다지만 갈 길이 멉니다. <br><br>채널A 취재 결과 농지 외에 다른 용도로 변경할 경우 매립 공사에 투입된 농지관리기금 1846억 원을 반환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"농지 외에 다른 용도로 바꿔 팔면 감정 절차를 거쳐 매각 대금을 회수하게 된다"고 전했습니다.<br><br>이 때문에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고 개발에 나설 사업자를 찾기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<br>[이정현 / 전북환경운동연합 대표] <br>"누가 나설 사람 아무도 없어요. 골프장을 만들겠습니까? 뭐하겠습니까? 2000억 들여 가지고." <br> <br>잼버리 대회 전부터 계획을 세워 대회 후 곧바로 공원, 컨벤션 장으로 활용한 일본과 대비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